티스토리 뷰
BLAME!|블레임 (2017)
넷플릭스 오리지널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희한할 정도로 독특한 설정에 설명도 불친절해서 이해가 갈듯 말듯하지만 일단은 분위기에 압도당하게 되는 스타일의 Sci-Fi 액션물.
미드 '얼터드 카본'을 보고난 며칠 뒤에 이 애니메이션을 보았더니 인간의 정의(定義)란 무엇인가 하는 상념이 들어 어질해졌다.
먼 옛날에 인간은 감염으로 인해 도시에 접속할 힘을 잃어버렸다고 한다. 통제를 잃은 도시는 끝없이 증식하면서 현재의 인간을 학살하고 있다. (건설자라는 기계가 도시를 끝없이 확장하고 있어서 인간이 오래간만에 마을 밖으로 나오면 지도가 달라질 정도라고 한다.)
어느 작은 마을에 사는 소녀 즈루는 친구들을 이끌고 식량을 구하기 위해서 마을 밖으로 나왔다가 감시탑에 발각당하여 세이프가드에게 쫓기게 된다. 이때 지나가던 키리이라는 남자가 권총 형태의 중력자 방사선 사출장치라는 무기로 즈루 일행을 구해준다. 키리이는 네트 단말 유전자를 가진 인간을 찾고 있다고 말한다.
!!! 강 스포일러 주의 !!!
!!! 강 스포일러 주의 !!!
!!! 강 스포일러 주의 !!!
!!! 강 스포일러 주의 !!!
!!! 강 스포일러 주의 !!!
키리이(霧亥)
주인공.
매우 과묵한 인물.
도시의 폭주를 멈출 수 있는 네트 단말 유전자를 가진 인간을 찾고 있다. 즈루네 마을사람은 그것이 무엇인지조차 모르거나 오래된 전설처럼 여기는 모습을 보여준다. 키리이는 어디에서 왔느냐는 질문에 "6,000층 아래에서 왔다"는 대답을 돌려준다.
음식을 먹지 않고 충전을 통해서 신체활동을 유지하며 보통 사람보다 무겁고 범상치 않은 괴력을 발휘하는 데다 결정적으로 인공안구나 전뇌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묘사를 많이 보여줌에도 본인은 스스로를 인간이라고 칭한다.
만사에 무심한 것처럼 보이지만, 인간이 학살당하는 모습을 가만 두고 보지는 못하는 성격.
감시탑을 무효화시키는 장비를 목에 차고 있는데, 엔딩에서 그것을 즈루에게 넘겨주고는 즈루네 마을사람이 피신할 시간을 벌어주면서 이별하게 된다.
즈루(づる)
식량 고갈과 물자 부족, 세이프가드의 학살에 시달리는 어느 마을의 젊은 전기어사(電基漁師). (전기어사란 슈트를 입고 무기를 써서 세이프가드에 대항할 줄 아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 같다.)
목숨을 구해준 키리이를 마을로 데려오고부터 이래저래 마을의 형세가 변할 일들을 겪는다.
훗날 마을을 이끄는 지도자가 되었다고 한다.
다에(タエ)와 후사타(フサタ)
민폐 캐릭터 포지션. (혹은 잔인한 세계관을 보여주기 위한 희생자 포지션.)
즈루의 전기어사 동기 혹은 또래친구로 보인다.
아저씨(おやっさん)
즈루네 마을의 전기어사 리더.
키리이를 여행자라고 부른다. 네트 단말 유전자라는 단어를 마을 지하에 있는 부패한 사당에서 들어본 적이 있다면서 길을 안내한다. 그곳에서 키리이는 시보라는 과학자를 만나게 된다.
시보(シボ)
키리이는 폐허의 콘크리트 잔해 밑에서 다 부서진 사이보그를 발견한다. 시보의 머리를 무감하게 흔들흔들 들고 다니는 키리이의 비인간적인 모습이 여러 가지로 아이러니한 감상을 불러일으킨다.
시보는 카이토(塊都) 출신의 과학자로 네트 단말 유전자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인조 단말기를 만들어서 도시를 통제하고자 시도하는 인물. (시보 역시 네트 단말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어쨌든 인간의 범주에 속하는 인물인 듯하다.)
갈가리 찢어진 영상신호를 보내는 바람에 마을사람에게 유령으로 인식되기는 했지만, 일찍이 세이프가드의 침입을 막는 전기 장벽 발생기를 설치하여 결과적으로 마을을 지켜온 사람이기도 하다.
네트스피어 접속에는 실패하지만, 통치국과 대화를 나눈 뒤에 세이프가드가 관할하지 않는 지역―폐기계층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여 즈루네 마을사람을 이주시킨다.
세이프가드
즈루네 마을사람은 "학살자"라고도 부른다. 노멘의 온나멘 얼굴을 하고 기괴하게 움직인다.
사나칸
인간형 세이프가드. 상위 세이프가드라고 한다.
네트 단말 유전자가 없는 현재의 인간을 불법 거주자로 간주하고 압도적인 기술력과 화력을 휘둘러서 학살한다.
키리이와 싸우던 중에 키리이의 몸체가 도난당한 세이프가드의 것이라는 정보를 들려준다. (안타깝게도 이 애니메이션에서는 더 이상의 설정풀이를 해주지 않는다.)
본 리뷰에 인용된 이미지(동영상 포함) 및 텍스트 등에 대한 모든 권리는 해당 저작권자가 소유하고 있음을 알립니다. (C) TSUTOMU NIHEI·KODANSHA / BLAME! PRODUCTION COMMITT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