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프레드 왓킨스라는 사내가 몇 번 아버지를 찾아와서, 이 나라의 지도를 보여 주며, 영적인 힘, 혹은 고대의 권력이 존재했던 장소들이 일직선상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고 한다 ― 세 종류의 문화가 만들어 낸 고분, 거석(巨石) 유적, 교회 따위가 말이다. 그는 이들 직선을 레이라고 불렀고, 이것들은 지하를 달리는 대지의 에너지의 형태로 존재하며, 그 위에 서 있는 것들에게 영향을 끼친다고 믿었던 것이다. (생략) 「(생략) 저 고대의 숲, 〈원초의 숲〉에서는, 집적된 오라는 그 이상의 것, 극히 강렬한 그 무엇인가를 형성해. 우리의 무의식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일종의 창조적인 장이라고나 할까. 그리고 아버지가 프리 미사고라고 부른 건 우리들의 무의식 속에 있어 ― 여기서 미사고란 미스(myth, ..
우리가 볼 수 없는 모든 빛 1, 2 (All the Light We Cannot See) 프랑스의 시각장애인 소녀와 독일의 고아 소년 이야기. 제2차 세계대전 배경. 그들이 가진 육체적 악조건과 그것에 빛바래지 않는 재능, 주변환경, 주변인물, 시대상황에 따라서 개인의 삶이 흘러가는 이야기를 담담하고 잔잔하게 다루었다. 하도 담담하고 잔잔해서 잔잔하다 못해 심심하다는 감상까지 생길 정도. 그러나 그 분위기 너머를 가만 생각하면 그들이 굉장히 어렵고 두려운 일들을 겪으며 살았음을 새삼 깨닫고 먹먹함을 끌어안게 된다. 두 권짜리 책을 다 읽고 덮은 새벽, 방바닥에 누워 작중 등장인물의 삶을 곱씹다가 왈칵 눈물이 치솟아 절절매는 경험을 다 해보았다. 특히 소년이 급한 상황에서 찢어낸 새(鳥) 그림만 떠올리면..
시간의 주름 어린이/청소년용 SF소설. 쉽게 읽을 수 있음. 어드벤처 판타지물 같은 분위기가 남. 5차원 이동, 일종의 정신감응력, 자유의지, 지구인과 다른 감각개념을 가진 외계존재들, 가족애 등을 다룸. 제목 '시간의 주름(Wrinkle in Time)'은 시공간의 주름을 잡아 단숨에 워프하는 "5차원 이동"을 가리킨다. 성서적으로 뚜렷한 선과 악의 대비 묘사 있음. "빛/종교인/예술가/과학자/개인"과 "암흑체/천편일률적이고 기계적 소모품 같은 존재들/개인이 아닌 것"의 대비. 주인공 메그(마가렛 머레이)는 치아교정기를 꼈고 근시용 안경을 썼으며 꼴찌반에 들어갔고 참을성이 없으며 난폭한데다 고집스러운 인물. 메그는 본인의 그런 면모들을 잘 알고 있으면서 싫어하고 있다. 이러한 메그가 우주적 악의 존재인..
― 가정의 달 5월에 참으로 보기 좋은 영화였습니다. (…) 가족의 의미와 어버이 사랑에 대한 고찰이 깃든 SF·액션·코미디영화. 어벤져스엔 동료애와 브로맨스, 가.오.갤엔 가족애가 있다! ― 러닝타임 136분. ― 크리스 프랫이 대단히 예쁘게 나옵니다. 귀엽고 말갛고 보송보송합니다. 조 샐다나와 카렌 길런은 멋있게 나옵니다. 이 영화의 "예쁨"은 크리스 프랫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제임스 건 감독은 크리스 프랫을 진짜 좋아하나 봐요. '쥬라기 월드'와 '매그니피센트 7'의 크리스 프랫과는 확실히 달라요. ― 언제나처럼 완벽한 조 샐다나와 귀여운 카렌 길런. 가모라, 진짜 셉니다. ― 1편이 음악에 집중했다면, 이번 2편은 퀼이 어린 시절 즐겼던 음악, 드라마, 게임을 두루두루 다뤄줍니다. 어머니의 두 번..